1. 예배의 정의
예수 그리스도를 중보로 한 인간과 하나님의 만남이다
2. 예배의 구분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예배를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 예배 요소를 성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1)하나님께 드리는 부분:찬양, 기도, 헌금등
2)하나님께서 주시는 부분:성경봉독,설교등
3)성도 상호간의 교제 부분:광고,성도 상호간의 인사등
3. 예배의 역사
1)족장시대의 예배:제물 중심
2)성전 시대의 예배:제물 중심,의식과 형식 중시
3)신약시대의 예배:말씀중심의 예배로 바뀌면서 개신교에서는 설교의 비중이 강해진 반 면 예배가 하나의 의식(Liturgy)이라는 측면은 너무 무시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4. 예배와 음악의 관계
1)예배에서 음악의 역할
* 예배 자체로서의 기능:찬양은 그 자체가 이미 하나님을 예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구약 성전에서의 경우가 대표적인 예다
* 예배의 한 요소로서의 기능:역사적인 예배의 흐름을 보면 음악은 예배의 각 요소들을 연결시켜주고 설교자를 도와주며 예배를 보다 아름답고 예술적인 가치가 있는 것으로 만들어 주었다.
2)회중찬송과 예배:회중찬송은 전 교인이 예배에 보다 능동적이고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해주며 예배를 부드럽고 조화롭게 만든다.
3) 성가대의 찬양과 예배:예배의 모든 요소 중 예술적 아름다움과 정성된 회중의 준비가 가장 잘 나타나는 부분이며 통계에 의하면 설 교 다음으로 회중이 교회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순서이다.이것은 전 회중을 대표하며 사람들이 듣고 감상하기 위한 순서가 아니 라 회중을 대표해서 하나님께 드리는 가장 중요한 예배의 한 요소이다.
4) 기악음악과 예배:잘 구성된 기악 연주팀은 예배를 보다 아름답고 다양하며 풍부하게 만들어 준다. 전통적으로 교회의 악기는 오르간이었 지만 요즘은 피아노와 전자악기의 발달로 다양한 교회음악이 연주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 교회에서는 오케스트라까지도 조직해서 교회음악 을 연주하고 있다.이것은 예배의 질을 한 단계 높여준다고도 말할 수 있으며 회중에게 더 큰 감동과 깊은 인상을 줄 수도 있 다.
5. 잘 된 예배와 잘 못된 예배의 예
1)잘 된 예배
출애굽기 15장의예:이것은 단순한 노래 이상의 의미를 가진 일종의 음악예배라고도 말할 수 있다.
* 노래의 내용:하나님에 대한 신인식이 옳바르게 되어 있으며 하나님께서 하신 일을 정확히 알고 있다.또한 하나님께 대한 감사와 인도하심에 대한 기대와 믿음이 잘 표현되어 있다.
* 노래한 방법:성악과 춤과 기악이 다 동원된 종합 예술적인 것이었으며 화답의 방법을 쓴 것등은 당시의 예배적인 요소가 담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노래의 원인:홍해를 육지같이 건너게 해 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님께서 노래의 동기를 부여해 주셨다.
2)잘 못된 예배
출애굽기 32장의 예
* 예배의 내용: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든 우상 앞에서 부패한 행위를 하였다.
* 예배의 방법:노래, 먹고 마심, 이방신 제사의 방법과 유산한 타락한 행위등.
* 예배의 원인:산에 올라간 모세가 내려오지 않음으로 인한 인간의 불안과 불신앙에서 출발함
6. 찬송에 관하여
1) 찬송의 의미
* 구약적 의미:칭송하다, 칭찬하다, 자랑하다, 송축하다, 감사하다, 노래하다등
* 신약적 의미:구약적 의미외에 시간이 흐르면서 보다 광범위하고 다양한 내용이 첨가되고 세분화 됨. 시, 찬미, 신령한 노래등.
2) 찬송의 역사
* 구약 성전에서의 찬송
엄격하게 짜여진 규정에 의해서 고도로 훈련된 전문가들에 의해 주관되고 진행되었으며 그 규모나 조직이 놀라울 정도로 전문적이다. 성경낭독이 일종의 영창이었을 정도로 찬양은 예배의 핵심적인 요소였다
* 회당에서의 찬송
성전에서보다 소규모이고 기악음악도 사라졌으며 잘 훈련되 전문가 그룹도 없어졌다.
* 초대교회에서의 찬송
회당의 전통을 이어받았으며 Chanting이 중요한 찬양의 방법이었다. 그러나 로마의 핍박으로 콘스탄틴 이전의 찬양은 내적이고 소규모이며 기악이 없는 형태의 것이었다.
* 중세교회에서의 찬송
중 세는 교회의 시대라고 할 만큼 교회의 영향력이 컸던 시대였기 때문에 찬송도 놀라울 정도로 크게 발전했다. 하지만 점점 전문화되 고 복잡하고 어려워져서 회중은 참여할 수 없는 수준으로 되었고 마침내는 성직자들의 전유물이 되었다.
* 종교개혁시대의 찬송
자 기 나라말로 된 성경과 함께 자기 나라말로 된 찬송을 부를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된 데는 마틴 루터의 공이 크다고 하겠 다. 성가대의 찬양만 있던 중세와는 달리 회중 찬송이 급속히 확산되고 이것은 종교개혁의 성공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오늘날의 찬송
전 통적인 찬송의 유산과 함께 복음송과 같은 배우기 쉽고 부르기 쉬운 찬송들이 많이 생겨났으며 예배에도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각 나 라마다 자기 나라 고유의 찬송들이 생겨나고 자기들의 신앙고백이 담긴 찬송들이 많이 나왔 다.C.C.M(Contemporary Church Music)이 나오고 예배에선 사용하기 어렵지만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 회음악들도 나왔다. 연주용 교회음악도 많이 생겼고 찬양예배용의 단순하면서도 영감있는 음악들도 많이 나왔다.
7. 복음성가에 관하여
1)발생과정
1874 년에 출판된 블리스(P.P.Bliss 1838-1876)의 “Gospel Song"이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전에는 루터 의 코랄과 칼뱅의 시편가(Psalter)가 주류를 이루었고 그 후에 아이작 왓츠의 찬송과 웨슬레의 주관적인 찬송등이 불리웠다. 그 러나 역사적으로 오늘날과 같은 복음성가는 19세기의 산물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전도집회등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원래는 만들어졌다.
2)예배에서의 사용
성 경은 변치 않고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야 하지만 찬송은 시대에 따라 그 모양이나 방 법등이 변해야 한다. 다만 예배에서의 사용 은 그 음악이 예배의 정신과 일치하는지 알아 보고 사용해야 하며 예배의 질을 떨어뜨리거나 지나치게 감각적인 것은 피할 필요 가 있다.그러나 좋은 복음성가들은 선별해서 교회예배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획일적으로 말하기는 곤란하기 때문에 좋은 음악 을 선별할 수 있는 심미안이 있어야 한다.
8. 찬송을 바르게 부르려면
1)예배에서 찬송은 예배의 정신과 일치해야 한다 즉,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라는 말에맞게 진실하게 영적으로 불러야 한다
2) 찬송은 악보대로 부르는 것이 가장 좋다-주관적으로 부르다 보면 혼란을 가져오고 특히 회중찬송은 예배 집례자가 정확히 부르지 못하면 회중전체가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이럴 때는 전문적인 지도자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 다.또한 시간을 내서 교육할 필요가 있다.
3)찬송 을 정서를 들뜨게하는 수단으로 부르는 것은 삼가야 한다. 찬송을 통해서 하나님의 은혜를 깨닫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람들을 흥분시키 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옳지않다. 정서적인 흥분을 은혜로 오해하는데서 이런 현상이 많이 나타난다.근본적으로 말하면 찬송 은 은혜받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이미 받은 은혜에 감사해서 부르는 것이어야 한다.은 혜에 대한 신학적인 고찰이필요하다
4)각 민족과 시대에 따라 그 정서에 맞는 찬송을 부르는 것이 이해와 표현 감동등에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9.맺는 말
예 배와 음악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며 교회에서 발달해 왔다. 음악은 시대에 따라 그 시대에 맞는 표현방법으로 예배와 찬양에서 사용되 었다. 오늘날 우리 시대에는 우리 시대에 맞는 예배와 음악이 요구되며 하나님을 예배하는 사람들이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수 있 는 음악이 필요하다. 시대적인 표현방법을 알지 못하면 찬양은 힘이 없어지고 예배의 생동감을 잃게 만든다. 요즈음 십대들이 기존 의 찬송가를 잘 부르려 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자기들의 정서와는 맞지 않는 방법으로 찬송이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 다. 우리 정서에 맞는 좋은 찬송들이 교회에서 많이 만들어지고 불려질 때 예배는 보다 생동감있고 감사와 기쁨이 넘치는 감격의 순간 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