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이집트의 간략사와 출애굽 연대

페이지 정보
profile image
작성자
  • 211.♡.152.53
  • 0건
  • 7,975회
  • 작성일:
본문

 

1. 상고시대 
2. 고왕국시대
3. 제1중간기
4. 중왕국시대
5. 제2중간기
6. 신왕국시대

 

나일 강에서 시작된 고대 이집트 문명은 기원전 3500년경에 시작됐다. 고대 이집트 역사는 6개의 시대로 구분되는데 BC3100년~2770년까지의 시대인 상고 시대, BC2770년~BC 2200년까지인 고 왕국시대 BC 2200년~2050년까지인 제1중간기, BC 2050년~BC 1560년까지인 중 왕국 시대, 기원전 1786년~BC 1560년까지인 제 2중간기, BC1560년~BC 1087년까지인 신 왕국 시대로 나누어진다.


 

1. 상고시대

이 시대는 상 이집트(남이집트)와 하 이집트(북이집트)로 나뉘어져 있었다. 또 관개와 배수를 이용한 대규모 농업이 발전하였으며 상형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석기 대신 구리로 도구를 사용하는 법을 배우게 되었으며 이집트인의 태양숭배와 영혼 불멸에 대한 이집트인의 믿음도 이때부터 시작되 었다.


 

2, 원 왕조(原王朝, protodynastic)시대:

 


이집트 선왕조 시대가 끝날 무렵 왕권이 형성되어 가던 시기를 뜻한다. 고고학적으로는 나카다 3기에 해당되며, 대략 BC 31세기~BC 30세기에 해당된다. 이집트 제0왕조라고도 불린다. 
원 왕조 시대는 상하 이집트가 통합되어 초기왕조 시대의 통일 왕조가 되어가는 과정으로 특징지어진다. 또한 이 시대에 처음으로 이집트 신성문자가 기록되기 시작했다. 또한 팔레스타인 남부에 상업 등의 목적을 가진 이집트인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는 나일 강을 따라 생성되던 수많은 소규모 도시 국가들이 몇 개의 핵심적인 세력으로 통합되어 갔 다. 이들 중 상 이집트의 티니스, 나카다, 네켄의 3개 도시가 중요하게 등장하였다. 이들은 각자 섬기는 신에 따라 나누어졌는데, 티니스와 네켄은 호루스를 섬겼으며, 나카다와 하 이집트 지역은 세트를 섬겼다.

 


시간이 흐르자 호루스 숭배 지역이 점차 우세해졌으며, 나카다는 티니스와 네켄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국 굴복 하고 말았다. 강력해진 티니스 세력은 정치적 발달이 늦은 하 이집트를 점령했으며, 네켄의 왕족들이 티니스 왕족에 흡수되어 이집트의 통일이 달성되었다. 티니스 출신 왕들은 아비도스에 묻혀 있다. 유명한 나르메르 팔레트를 남긴 나르메르는 이 시기의 마지막 왕, 혹은 이집트 초기왕조를 연 왕으로 알려져 있다. 전 갈왕이라는 이름이 제시되기도 한다.


 

3, 선왕조: 
이집트 제5왕조의 유물로 이집트 제1왕조 이전 선왕조(Predynasty) 말기의 왕들부터 제5왕조의 네페 리르카레까지 적혀 있다.


 

1)초기왕조:

상 이집트는 붉은 땅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 나일과 사막으로 구성된다. 최고의 무덤 움 엘 카아브는 스콜피온 표식을 지닌다. 나르메르는 상하 이집트를 통합하였다. 파라오 U-k(연도 불분명),전갈 왕1세(연도 불분명), 파라오U-i(연도 불분명), 이리-호르 (연도 불분 명)세켐-카(제위 기원전 3100 년경),전갈 왕 2세(제위 기원전 3100년경)는 아마도 세르케트(Serqet)이라고 발음되었다. 그러나 불분명하며 나르메르와 동일 인물일 수 있다. 현재는 초기 왕조 상 이집트의 왕들을 14명으로 본다.(나르메르 제외)


 

2)고 왕국(BC 2,686-2,181년)

 

이집트 고 왕국 시기는 고대 이집트를 나눈 시기 중 하나로, 이집트 제3왕조부터 이집트 제6왕조 까지의 기간(기원전 2686년~2181년)에 해당된다. 고 왕국 시기 동안 고대 이집트의 왕권은 크게 신장되어 파라오의 중앙집권적인 전제군주의 힘이 강화된다. 이러한 사실은 이집트 제4왕조가 남긴 수많은 유적들, 특히 쿠푸의 대 피라미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신적인 면에서도 왕의 위치는 신과 동격으로 격상되어, 초기에는 호루스의 화신 으로, 이집트 제5왕조부터는 태양신 레의 아들로 숭배되었다.

 

파라오의 신격화와 대 피라미드의 건설 등으로 상징되는 고왕기의 부흥은 제6왕조 시기부터 서서히 약화되었으며, 왕권은 붕괴되어 이집트의 제1중간기를 맞이하게 된다. *고 왕국시대에 피라미드(쿠푸, 카프레, 멘카우레 왕의)를 건설하는 것을 치적으로 삼았다.


 

3)중 왕국(BC 2181~2160년)11-12왕조

 

대부분의 파라오들은 아비도스 왕 목록과 토리노 파피루스의 기록 이외의 유적을 남기지 않았다. 또한, 아래의 구별은 잠정적인 것으로, 고고학적 유물 등으로 명확히 뒷받침되지는 못한 것이다.

이집트 중 왕국 시대는 고대 이집트의 시대 구분 중 하나로, 제11왕조의 멘투호테프 2세가 상하 이집트를 재통일한 기원전 2040년부터 제12왕조가 몰락하는 기원전 1782년 까지 이다.

 

*제12왕조 때에 여러 가지 복잡한 이유로 통제권이 약화되고 나라가 분열되면서 아시아 쪽(셈족)에 서 들어온 힉소스 족은 번영하던 이집트의 중 왕국(12,13왕조)이 갑자기 세력이 약해지면서 지방 통치자들의 분할 통치가 시작되었다. 이때에 힉소스(Hyksos; 목자 왕들, 이국의 통치자)라는 셈족 으로 이루어진 민족이 아시아 팔레스틴 쪽에서 말과 병거를 몰고 쳐들어 왔다. 그때가 기원전 18 세기 중엽으로 그때로 부터 약 150년간(약 1720-1570 BC)이집트의 두 왕조(15,16왕조)는 가나안 에서 쳐들어온 힉소스라는 이민족에 의해 통치되었다. 그때 그 틈을 타 묻어온 많은 집단의 족속들 이 있었다. 힉소스가 이집트를 정복할 때 많은 힘을 실어 준 집단이 있었다. 그 집단이 훗날에 히 브리 노예로 ...이스라엘 민족으로 불리어졌다고 한다. 힉소스 족은 그들은 수도를 동부 아바리스 에 정하고 이집트와 서부 아시아를 다스리며 힉소스(Hyksos) 왕국을 세우고 파라오로 군림하게 된 다.

 


4)신 왕국(18왕조-20왕조) BC 1570-1070년)

 

이집트 신왕국은 때때로 이집트 제국이라고 불리며, 고대 이집트의 역사에서 기원전 16세기부터 기원전11세기까지의 시기를 말하며 18왕조, 19왕조, 20왕조를 포함한다. 신 왕국(기원전 1570-1070년)은 제2중간기에 뒤이어 이루어졌고, 제3 중간기가 그 뒤를 이었다. 신왕국은 이집트의 가 장 번영한 시기였으며 그 세력의 절정을 이루었다.

*약 200년 동안 이집트를 다스리던 제18왕조에 들어서면서 아호모스 1세에 의해 힉소스 족이 ? 겨 나면서 이집트를 재통일하게 된다.

투트모세 2세

*역사가들에 의하면 출애굽 연대가 BC 1446년으로 되어 있으니 이때가 제18왕조 투트모세 2세쯤 으로 생각된다. 투트모세 2세는 제18왕조의 파라오(재위: BC1479년~BC 1425년)로, 54년에 달 하는 긴 재위기간 중 반에 가까운 21년을 계모 하트셉수트가 섭정이자 공동파라오로서 실권을 쥐 고 있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