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비교종교학

페이지 정보
profile image
작성자
  • 119.♡.162.20
  • 0건
  • 7,119회
  • 작성일:
본문


 

제 1 장 총  론

 

  1. 종교의 필요성

 · 제임스(Wm James, 1842-1920, 미국의 심리학자, 절학자) - '믿으려는 의지'가 있다.
 · 구약 전도서 - '하나님이 …… 사람에게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을 주셨느니라'(전도서3:11 하반)고 갈파.
   · 어거스틴(참회록 1장 1절) - "하나님은 인간을 다만 당신을 위해 만드셨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마음은 당신에게서 안식을 얻기 전에는 참 평안을 가지지 못하나이다."
 · 시편(42:1-2) - "하나님이여 사슴이 시냇물을 찾기에 갈급함 같이 내 영혼이 주를 찾기에 갈급하나이다. 내 영혼이 하나님 곧 생존하시는 하나님을 갈망하나니 내가 어느 때에 나아가서 하나님 앞에 뵈올고"
 이와 같이 인간 심령의 심각한 요구에 응해 주는 것인 만큼 이것은 가장 보편적인 것이다.

 

  2. 종교의 기원과 발달

 원시 미개인에게는 고상한 도덕적, 정신적 욕구보다는 물질적 욕구가 지배적이었던 만큼, 그리고 그들이 그 물질적 욕구를 만족 시키려 함에 있어서 자신들의 역량이 부족하므로, 초자연적이며 초인간적인 존재의 힘을 빌고자 하였던 동기에서 발생한 종교는 인류 문화의 다른 사건들과 함께 종교도 저급의 상태에서 높은 데로 발달하여 왔다. 그리고 종교의 발달은 신관의 발달과 병행한다. 따라서 신관의 발달은 동시에 종교의 발달이기도 한다.

 
· 종교적 신앙 즉 신관의 발달
 (1) 마나설(Manaism) - 자연물, 인간, 사건 등에 접하여 있어서 비상한 행동이나 사건등에는 '마나'라는 신비한 힘이 작용한다고 믿는 것. 

 (2) 정령설(精靈說, Animism) - 자연의 흐름 속에 사람의 혼령 혹 생명 같은 것이 있어서 그것 중 어떤 것들로부터 원조를 받으려 하거나 친밀한 관계를 맺으려 하는데서 종교는 생겨 낫다고 보는 설.

 (3) 주물 숭배(呪物崇拜, Fetishism) - 나무 조각, 조개 껍질 등의 것에 신이나 신비한 마력이 있어 사람에게 화나 복을 내린다고 믿는 것. 

 (4) 주술(呪術) 혹 마술(魔術, Magic) - 요술 사가 신비한 영력을 부리어 자신의 욕망을 만족시키려는 행동을 가리킴.
 (5) 토템(Totem)숭배 - 자기 조상이 식물 혹 동물에게서 나왔다고 믿어 그것을 조상으로 섬기는 것

 (6) 자연숭배 - 자연물들은 인간보다 더 지혜와 힘이 있어서 인간에게 화와 복을 줄 수 있다고 믿어 그것을 숭배하는 것. (천, 지, 일, 월, 성신, 비, 바람, 불, 물 등)
 (7) 다신교(多神敎) - 이 세상에는 무수한 신들로 차 있다고 믿는 것. (山神, 太陽神, 雨師, 風伯, 月神, 星神 등등)
 (8) 조상숭배 - 인간의 조상을 숭배.
 (9) 만유신교(萬有神敎) 또는 범신교 - 만물은 다 신이요 신은 만물이라고 보는 신앙.
 (10) 유일신교(唯一神敎) - 가장 발달되고 합리적이며 인간의 심령에 최고의 만족을 주는 신관. 단일신교(單一神敎) - 여러 신중에서 한 신만을 택해서 섬기는 신앙.
 (11) 인도교 혹 인간교(Humanism) - 초인간적이며 초자연적 신의 실재를 인정치 않고 인간과 또는 그가 품은 이상과 최고의 가치를 신앙과 노력의 대상으로 여기는 사상.

 

 

  3. 종교의 분류

 ·첫째 분류법 - 부족적 종교, 국가적 종교, 세계적 종교
  - 부족적 종교 ; 각 개인의 소관사라 함보다는 부족 전체의 소관사.
  - 국가적 종교 ; 부족이라는 작고 좁은 형태에서 국가적인 규모로 발달.
  - 세계적 종교 혹 예언자적 종교
     ; 신관은 세계적이며, 동시에 개인주의적이며, 형식적인 것 보다 윤리적이며, 의식주의적인 것보다 신비주의 혹 정신적이다.(불교, 기독교, 회회교)
 
 ·그 밖의 분류법 - 자력교와 타력교, 현존 종교와 사멸 종교

 

  4. 종교란 무엇인가

 ·통속적 정의 ; 종교는 사람이 자기가 지존자 혹 최상자라고 믿는 대상에 대하여 가지는 숭경(崇敬)의 태도이다.

 

  5. 현존한 종교들
       

  6. 비교 종교 연구의 태도

다른 종교를 연구함에 있어서 편견과 선입견을 버리고 긍정적이며 건설적인 태도로서 다른 종교의 장점을 찾기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사도바울 -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고 악은 … 버리라"(살전5:2-22)
 ·저스틴 - "모든 사람이 올바로 말한 것은 무엇이든지 우리 그리스도인의 재산이 될 것이다."


 

제 2 장  흰두교(Hinduism)

 

·신도 - 인도 전 인구 3억 9천만 중 2억 3천만
·특색 - 계급 제도(바라문,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
·인도교의 발달 - 여러 시대를 통해서 여러 사람의 종교적 지도자들에 의하여 발전된 종교.

 

 1. 초기 자연 숭배기 (1,000 B.C.)

·산출된 경전(Veda경) - ① 시경 ② 성례전 ③ 성가 ④ 주문
·신앙의 대상 - 신격화한 자연물 천체(天體) 76종, 이 중에 가장 중요한 신은 '인드라'(Indra, 공기와 비의 신) 이다.

 

 2. 제사 시대 (1,000 - 800 B.C.)

·산출된 경전 - 브라마나스(祭典) ; 각종 제사 법과 전설이 실려 있음.
·제사장을 존중하였으며, 절대의 권위자로 인정되어 베다 시대의 신들도 제사로 말미암아 불멸의 신이 되었다고 함.

 

 3. 철학 시대 (800-600 B.C.)

·산출된 경전 - 우파니샤드
·중심 사상 - '부라마'신 사상

 

 4. 계율 시대 (250 B.C.)

·산출된 경전 - '마누'법전
·마누에 의한 구원 방법 - 계율의 준수, 계급 제도의 엄수

 

 5. 경신(敬神)시대 (1 A.D.)

· 산출된 경전 - 바가바드 끼타
·구원은 계급과 지위를 막론하고 '크리쉬나'신을 전심으로 공경함에 있다고 봄.

 

 6. 통속적 인도교 (1-250 A.D.)

·특색 - 인도교가 통속화된 것과 지금까지의 각 시대의 특점이 종합된 것.

 

 7. 인도교의 개혁 운동 (557 B.C. - 1917 A.D.)

 (1) 첫 개혁 운동 - 귀족 출신인 마하비라가 기원전 557년에 시작. 개혁의 요점은 브라만 계급의  배타적 정신, 지나친 베다경 숭배, 무자비한 동물 제사, 우파니샤드 철학의 일원론 반대 등. 자이나교 창설
 (2) 제 2의 개혁 운동 - 기원전 548년에 귀족 석가모니에 의해. 세습적 계급 제도, 제사장에게 드리는 공물에 의한 구원, 지나친 철학적 사색, 의식주의, 알지 못할 고대어 경전을 중시함에 반대. 불교를 낳게 함. 
 (3) 티루발루바(Tiruvalluar) - 하층계급의 사람으로 기원후 800년경. "신의 은혜에 의하여서만 구원을 받는다" 함.
 (4) 망카바사가 - 하층계급의 사람. 구원은 신의 은혜의 선물임과 죽은 후의 영생을 가르침.
 (5) 라마누자 - 브라만 계급의 사람(12세기). 인격적 신 주장, 계급주의와 여성 멸시의 사상을 반대.
 (6) 라마난다 - 14,15세기의 사람. 구원은 신의 은혜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라마신의 무차별적 사랑을 말 함.
 (7) 나낙(1469-1538 A.D.) - 제 3계급의 사람이며, 회회교의 영향 아래 인도교와 회교의 신을 동일시. 시크교가 생김.
 (8) 다두(1400 A.D.) - 인격적 유신 사상을 말함. 
 (9) 람 모훈 로이 - 브라만 계급이며, 기독교의 영향을 받아 개혁을 주장. 신약 성경 발췌 집을 발행하여 평화와 행복의 지침인 예수의 교훈 이라 함. 그는 1828년 '브라마 사마아지'운동을 일으킴(타고오르와 깐디등이 이 운동에 참가)

 

 8. 결 론
   


제 3 장 자이나교와 시크교

 

【1】자이나교

 

 1.자이나교의 창설자 

 ; 마하비라(인도 제2계급의 인물)는 30세시 그 부모가 별세하기까지는 극도의 호화스런 생활을 하다가 입도한 후 수도 생활을 하기 13년간 비상한 난행고행 끝에 성도 하여 열반의 경지에 이르름. 성도후 수도사의 은둔생활에서 나와 72세의 임종까지 그의 깨달은 도를 선포하기에 전력을 기울임.

 

 2. 경  전

 '아가마스'(계율의 뜻)라는 것인데12편으로 됨. 대개는 그의 서거후 200년 이후에 기록된 것. 경전을 이해하는 교도는 많지 않으며 일부만 매일 규칙적 읽을 뿐임.

 

 3. 교  의

 (1) 신관 - 인도교의 신관을 배척하며 기도를 부인. 다라서 사라미이외에 다른 숭배할 존재를 인정치 않음. 그러나 후일에 교조 마하비라 자신이 신격화되어 교도의 숭배의 대상이 됨.  
 (2) 인생관 - 인간관은 이원론(사람은 악한 물질과 영원한 영으로 구성)임.
 (3) 인과율 - 인도교의 인과의 법칙과 윤회 전생설을 믿음.
 (4)구원관 - 영이 육에서 해방 받는 동시에 우주적인 인과율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
 (5)윤리관 - 개인적으로 극단적인 금욕주의 강조. 사회적으로는 다른 사람에게 대한 사랑과 미움, 동정과 냉담, 협조와 손해 끼침 등을 초월해야 한다고 함. 마하비라가 그의 교도들에게 오계(불상생, 불망어, 불도취, 금여색, 금집착)를 줌.
 (6) 사회 생활 - 자이나교의 독신자가 되기 위해 속새 생활 절대 불가능. 승가 제도 창설하여 공동생활.

 

 4. 자이나교의 종파

 ·백의파 - 여성의 수도와 구원을 인정하며, 여성을 위한 사원을 허락,
 ·탈의파(공의파) - 여성의 구원을 인정치 않음. 남자로 환생하지 않으면 구원이 없다고 봄.

 

 5. 자이나교의 현황

 ·분 포 - 인도 북부, 서부, 남부에 분포.
 ·신 도 - (1951년 인도 정부의 집계) 1,618,406명
 ·교 세 - 국내외에 확장하고자 선교 활동을 일으키고 있음.

 

 6. 결  론
   

 

【2】시 크 교

 

 1.시크교의 창설과 전도

 ·창시자 - 나낙(1469-1538 A.D.)마틴루터와 동시대의 사람. 그는 인도교와 회회교를 혼합하여 한 새 종교를 만든 것이다. 그는 득도 이후에 그의 종이던 회교도 마다나를 악사로 하여 그와 함께 여러 곳으로 전도 행각을 하였으며, 만년에는 서쪽으로 아세아와 아라비아의 회회교 성지 메카에까지 선교 여행.

 

 2. 시크교의 경전  

 ·그랜드 - 기독교의 시련과 잠언 같은 책. 제일 대 교조 나낙과 그의 후계자들의 언행록과 기도시. 9대,10대 교도의 교훈과 회회교와 인도교의 저명한 현자들의 교훈을 수록.

 

 3. 교 리

 (1) 신관 - 유일신 신봉
 (2) 세계관과 인생관 - 전능하고 영원한 신관에 비하여 이 세계는 공허하며 순간적이며, 인간은 무력한 존재이며, 신에게 복종해야 할 창조물이라고 믿음.
 (3) 구원관 - 신에 대한 지식이나 신을 얻는 것이나, 신에 몰입되는 것인데, 인간은 무력한 존재이기 때문에 구원은 신의 은총에 의하여서만 얻어진다고 봄.
 (4) 예배 의식과 제도 - 그들의 신을 명상하는 것(반복구송), 우상 숭배와 제사를 극력반대(그러나 그들은 경전을 경배함). 구루(선생)를 통하지 않으면 구원을 얻을 수 없다고 믿음.

 

 4. 시크교의 발전과 현황

 ·구루 나낙에 의해서 창시된 시크교는 2세기 동안 10의 구루들에 의하여 발전/변모 되어 옴.
 ·교도 수 - 6,219,134(1951현재)
 ·신전의 대부분이 파키스탄에 있어서 회교도와 갈등과 충돌이 격심.

 

 5. 결  론

   시크교는 인도교와 회회교를 종합한 종교이므로 독특성은 거의 없다.
   


 

제 4 장   불   교

 

 · 창 설 자 : 석가모니
 · 신앙대상 : 원래는 신을 인정치 않았으나 후에 불타 자신이 신앙의 대상이 됨.
 · 현    황 : 1억 5천만(1953년 대영 백과 사전)의 신도. 동남아 지역, 버마, 타이세일론에 퍼져 있으며, 티베트에는 라마교 형태로 유지, 중국, 한국, 일본에 큰 세력을 가짐.
 ·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 시대 이르러 '숭유 억불'정책으로 탄압 받아 깊은 산 속에서 명맥을 유지.

 

 1. 교조, 석가모니(560∼470 B.C.)의 생애

 석가모니는 기원전 560년 4월 8일 북인도 가비라성 주 정반왕의 태자로 태어남. 본명은 실 달다. 19세에 결혼하여 10년간 지내다가 아들을 낳았고, 29세에 우울한 그의 심회를 잊어 보고자 사유 문관을 하였다. 궁중에서 세고(世苦)를 모르고 자라난 그는 큰 충격과 번민을 가지게 되는 동시 자신도 결국 사유문관시 본 운명을 면치 못할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러 인생 고에서 해탈 방법을 찾을 것을 결심하고 왕자의 영화와 처자를 버리고 수도사가 외었다.  처음 그는 자이나교의 금욕주의와 난행고행으로 인생 고에서의 해탈을 얻어 보려 했다. 이렇게 수도하기 6년 마지막에 하수가 보리수 아래 단정히 앉아 7일간을 고요히 깊은 명상에 잠겨 있을 때 그는 크게 깨달음이 있어 그로부터 그는 일체의 번뇌에서 놓임을 받고 무상 정각을 성취하여 불타(깨달은 자)가 되었다고 한다.
 성도후 4년 출가한지 10년만에 귀향하여 자신을 꾸짖는 부왕을 불법으로 설복하였으며, 그의 아내 야소에게 설법하여 최초의 비구니가 되었으며, 그의 아들 라골라도 불문에 들어갔다. 그는 그의 전도로 얻은 60제자를 각처로 보내어 그가 깨달은 해탈의 도리를 널리 전하게 하였다. 그는 유능한 포교자 였으며, 그의 설법과 비유 중에 예수님의 비유와 유사한 것들이 많이 있다.(탕자의 비유, 씨뿌리는 비유, 겨자씨 비유 등)
 향년 80세에 노쇠하고 병들어 설법하다가 임종(기원전 480년 2월 8일)하였는데, 그가 최후에 남긴 말은 "만상은 후패하니 너희들은 마음을 경계하고 잘 지키며 근면하고 정진하여 '법'을 잘 수행하라, 그리하면 생의 고해를 무사히 건너가리라"고 하였다고 한다.

 

 2. 불교의 교설

 (1) 무상정각
      ; 불타가 깨달은 부상정각 - 4聖諦(苦, 集, 滅, 道) 
 ·고체(苦諦) - 모든 존재는 고 아님이 없다.
 ·집체(集諦) - 고의 원인을 구명하는 것. ; 불교에서 고의 원인을 업(業)이라 함.
    ⇒ 업(業) : 사람이 한 번 만든 업은 인과율의 철칙에 의하여 현세나 내생에서도 업보(業報)를 받는다. 이 업을 멸하기 전에는 고계(苦界)에 윤회전생한다. 그러므로 악업은 물론이고 선업 가지도 멸하지 않으면 열반에 이를 수 없다.
 ·멸체(滅諦) - 고의 원인인 무지와 욕망을 없애고 업을 멸하여 윤회 전생의 수레바퀴에서 벗어남으로 나고 죽는 경지에 벗어나 진지에 도달하여 열반에 이르는 것.
 도체(道諦) - 고의 원인이 되는 무지와 미망과 온갖 욕망과 업보에서 벗어나 열반에 들어가는 방법. 팔정도를 지킴으로 소기의 목적을 이룬다 함. 
 ⇒팔정도(八正道) : 정견, 정지(정사),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 정렴, 정정. 이 팔정도는 고행과 및 향락에 치우치는 것을 경계한 수양의 방법으로서 불교의 중요한 계율.
 (2) 삼법인(三法印)
 ·불교의 인생관과 우주관을 설파하는 교의
 ·삼 범인
    ① 제행무상 - 우주 만상은 다 무상 즉, 영원하지 못하자는 뜻.
  ② 제법무아 - 우주 만상은 영원하지 못하므로 나 라는 존재도 영원성을 가진것도 아니며 실재도 아니라는 것. 
   ③ 열반 적정 - 제행무상, 제법무아를 깨달으면 생로병사의 경지에서 벗어나 일체의 근심, 슬픔 고뇌는 구름인 듯, 안개인 듯 사라져 버리고 마침내 평정 안일의 정지, 아무 구속 없는 상태 이른다는 것. 
   ④ 범인 - 진리를 말함
 (3) 인연관(因緣觀)
    ; 삼법인과 병행하여 우주 만상의 연관 관계를 구명하여 무아의 이치를 설명한 것. 
 (4) 인과응보설(因果應報說)
      ; 우주간에 편재한 '행동의 법칙'으로서 피할 수도 없고 막을 수도 없는 비인격적인 것이요 공정 무사한 도덕적 보응의 원리.
 (5) 윤회전생설(輪廻轉生說)
사람이 열반에 들어가기 전에 끝없이 삼계(욕계,색계,무색계)와 육도(천상,인간,축생,수라,아위,지옥)를 윤회.
 (6) 열반(涅槃)
불교의 이상경이며 기독교에서의 천국, 삼계육도를 윤회하지 않는 경지. 아무런 속박과 거리낌이 없는 절대 평등, 절대 안일의 실체에 돌아가는 것.
 (7) 보살과 아미타불
 ·보살 - 부처가 될 단계에까지 도달하였으나 중생 제도를 염원하여 보살로 처져 있는 부처 다음가는 성자
 ·아미타불 - 여러 부처 중의 하나로서 현세 불로서 중생이 제도를 받는데 제일 큰 관계가 있다고 믿음.
 (8) 소승 불교와 대승불교
       ; 불교교설의 해석의 차이로 생겨진 것.
 ·불신관 ; 소승불교 - 불타는 해탈의 도를 가르쳐 주는 위대한 스승으로 믿음.
             대승불교 - 선재설을 믿어 중생 제도의 원력에 의하여 화신하여 세상에 출생하였다 믿음.
 ·구원관 ; 소승불교 - 교회,승려본위이며 이기주의적,개인주의적,열반은 출가수한 수도승이 아니면 아무나 얻을수 없고

                               아라한에 만족.
               대승불교 - 일체 중생이 다 불성을 가졌으므로 누구나 구원을 받을 수 있다 함.
 ·성격/분포 ; 소승불교 - 소극적, 귀족적, 비사회적 / 인도남방
                   대승불교 - 적극적, 대중적,박애주의적 / 북방전파되어 중국,한국,일본까지 전파

 

 3. 불교의 경전

 ·결집 - 석가 서거후 백년 경부터 시작되어 2세기초까지 4차에 걸쳐 완성
 ·경(불타의 교설), 율(계율을 모은 것), 논(불타의 교설을 해설)으로 구분
 ·팔리어 기록

 

 4. 불교의 윤리

   (1) 자력주의 - 자력으로 극기, 도덕적 수련 강조
  (2) 평등주의 - 인도교의 게급주의 반대
  (3)계율 - 오계(살생 말 것, 도적질 말 것, 간음하지 말 것, 거짓말하지 말 것, 술마시지 말 것)

 

 5. 결  론
   


 

제 5 장 유  교

 

 공자는 천(天)혹은 천명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그의 의지와 생활을 지배했다고 할 수 있는 만큼 유교는 역시 종교로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창 설 자 : 공자외 다수
·신앙대상 : 천(天)에 대한 신앙이 아닌 사회 생활 규범과 질서를 중시 (仁義禮智, 孝悌忠信)
·현  황 : 300,297,000명(아시아 3억이상, 유럽 5만, 아프리카 7천, 북미 9만, 대양주 5만)

 

 1. 공자의 생애

 주 영왕 2년 노양공 22년(기원전 551년 11월 21일) 노국 창평향 추음에서 태어남. 3세때 - 그의 아버지 72세의 고령으로 별세. 유년 시절 -  당시 사대부 집안은 13세부터 교육을 받으나 그는 15세에 교육을 받기 시작.  34세 때 - 주 나라의 어진 임금들을 방문하여 성덕을 배웠으며 도교의 창설자 노자를 찾아 예를 묻기도 함. 36세 때 - 주에서 돌아온 그는 3천명의 제자가 있기도 했다. 55세 까지 - 그는 자신의 포부와 이상을 실현할 관직을 얻어 보고자 여러 제후국을 역방하며 여러 관직 맡으며, 내치뿐만 아니라 외교에도 혁혁한 공을 세워 이웃나라에까지 그 이름을 떨치게 됐는데 이를 시기한 제 나라의 뇌물과 미인계에 실망하여 모국 노를 떠나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유랑하다가 68세의 고령에 다시 돌아왔다. 그후 그는 노에서 추밀고문격의 대우를 받으며 시서와 예악 편집, 역학 연구, 노학역사를 편찬하였다. 그는 기원전 479년 4월 11일 향년 74세의 일기로 서거하였다.

 

 2. 맹  자

 기원전 371년에 태어나 어머니의 훌륭한 교육을 받았으며(孟母三遷), 장성한 후 공자의 제자 자사의 문하에서 공부하며 자신을 공자의 후계자로 생각하였다.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여 그의 윤리, 정치, 철학의 기본 사상을 삼았으며, 사단설(四端說)을 주장하였다. 청치론에 있어서는 백성을 중시할 것과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고조하였다. 그의 사상과 교설은 맹자 7권이 전하며, 기원전 289년 향년 83세로 서거하였다.

 

 3. 유교의 경전

 · 사서 삼경 혹, 육경 (논어, 맹자, 중용, 대학, 역경, 서경, 시경이며, 여기에 춘기, 예기, 효경을 추가)

 

 4.유교의 교설

   (1) 군자(君子論) - 유교의 도덕적 이상인물(이상적 인격형)
   · 군자 - 인(仁)을 존중하여 생의 최고 목표로 삼으며, 예(禮)를 존중하며, 실천을 중히 여김. 天命과 大人과, 聖人을 두려워함.
   · 배우고 가르침의 목적 - 수기치인(修己治人) 혹은 수신제가 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2) 정치론
  · 예치주의(禮治主義)와 덕치주의(德治主義)를 높이어 이 이상을 실현해 보고자 함.
  (3) 인의 해설
  · 내심에 있는 인이 경우에 따라서 어떻게 사람의 태도와 행동으로 표시되는 것. 
  · 인의 본질 - 순결하고 때가 끼지 않은 마음씨.
  · 중용에서 仁은 誠으로 표시되어 성은 하늘의 道요 성을 이루는 것을 사람의 도          라하였다.   
  (4) 공자의 천(天)의 관념
  · 사시의 변천, 만물의 성장과 움직임은 하늘이 하는 일이라 봄.
  · 死生有命, 富貴在天
  · 죄를 하늘에 얻으면 빌곳이 없다.
        ; 이와 같이 천에 대한 신앙을 가졌음에도 내세를 가르친바 없음.
   (5) 오륜(五倫)과 효도(孝道) -  중시하는 도덕률
  · 오륜 - 君臣有義, 父子有親,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 이 중 父子有親의 덕목이 가장 중시되어 孝의 관념(제사, 조상숭배의 사상이 생김)으로 표시.

 

 5. 결 론
   


 

제 6 장 도   교

 

 중국에서 발생하였으며 창시자는 노자(老子 604-517 B.C. ?)라 한다. 노자는 그의 독특한 철학적인 도설을 주장하여 사람들이 모든 인위적인 것과 사욕을 버리고 자연에 돌아가 도와 합일함으로 지복의 경지에 이를 것을 주장하였다.

 

 1. 도교의 경정과 교설

  (1) 경   전 
 도덕 경은 두 편으로 나뉘어졌는데 상편이 37, 하편이 44, 합 81장으로 되었으며 상편은 형이상학적인 우주 원리인 도에 대한 것이요, 하편은 도를 윤리와 정치에 관련지어 논술한 것이다.
  (2) 도   론
 중심 사상은 도이다. 무위의 원리인 도는 만물이 자연적, 자생적으로 스스로를 만들어 내도록 할 뿐이요, 그 이상의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여기에 이율배반의 법칙이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모든 것을 한다. 이것이 도의 본질이며 위무위다.
  (3) 우주관
 우주 만상은 도로 말미암았다. 이 도에 의한 우주 생성의 과정은 도는 일을 낳고 일은 이를 낳는다. 이리하여 우주 만물의 생성의 원리가 되는 음과 양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음양의 상호작용으로 만물이 생겨나는 생명, 즉 삼이 생긴다.
  (4) 윤리관
 윤리의 교훈도 무위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첫째로 강조한 것은 온순의 덕이며, 둘째로 검소한 덕을 높이 평가한다. 인, 의, 효를 부덕(不德)으로 봄같이 그의 윤리관은 소극적이며 부정적이다.
  (5) 정치론
 '무위'의 철학을 주장한 그의 정치론도 역시 부정적이요, 반사회적이다. 모든 원칙적인 것을 제거하고 자연 그대로를 따라 사는 자유로운 사회를 이상 사회 혹은 이상국 가로 보았다.
  (6) 종교론
 무신론자이며, 천(天)을 자연물로서 땅과 상대되는 것으로 여김과 상제를 인정했으나 이는 도에 의하여 생긴 피조물의 지위에 있다. 귀신을 인정했으며, 인간을 해할 수 있으나 선정으로 귀신의 발동을 막을 수 있다 봄.

 

 2. 열자

 노자와 같이 우주의 본체를 '허무'로 보았으나 이 무에서 만물이 생기는데는 태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