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유대인들이 지키는 유월절

페이지 정보
profile image
작성자
  • 211.♡.152.53
  • 0건
  • 9,246회
  • 작성일:
본문
성경에서는 유대인들 남자들이 반드시 지켜야할 3대 절기로 유월절(무교절)과 칠칠절 그리고 초막절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 하나인 유월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유월절의 유래( 12)
* 유월절은 BC 13세기(혹은15세기)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애굽)으로 부터 해방되어 나온 날에 그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 하나님의 명령을 받은 모세가 이스라엘을 보내라고 이집트의 파라오에게 요구하지만 이집트의 파라오는 수차에 걸쳐 이 요구는 거절됩니다. 10번째 재앙인 장자가 죽는 재앙이 이집트에 내려지고 나서야 파라오는 이스라엘 백성을 내보내게 되는데,  10번째 재앙이 내리던때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양을 잡아 그 피를 문의 문설주(문 좌우의 기둥)와 인방(문 좌우의 기둥을 가로 지르는 나무)에 바르라고 명령을 하십니다. 죽음의 천사는 이 피가 발라진 집은 넘어가고 피가 발라지지 않은 집의 모든 장자(노예의 장자와 짐승의 첫소생까지 포함)는 죽이게 됩니다.
* 그래서 피가 발린집을 넘어갔다고 해서 한자로 유월절(逾越節,넘을유, 넘을월,마디절) 이라고 하고 영어로는 Passover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2. 유월절의 시기( 12:18)
* 이스라엘 종교력으로 1(아빕월,니산월) 14일에 해당되며, 현대의 달력으로는 4월이나 5월에 해당됩니다.
* 이 시기는 보리 수확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3. 유월절과 무교절은 같은것인가 다른것인가요?
* * 종교력으로 1월 14일에 유월절이 1월 15일부터 21일까지 무교절로 지켜지는데, 성경에서는 이 두 절기를 하나의 절기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유월절이라는 무교절이 가까우매(누가복음 22 1절)
* 이스라엘 백성이 급히 이집트로 부터 나오게 됨으로 인해 빵을 발효시킬 여유가 없어서 발효되지 않은 빵을 구워먹게 된것에서 무교절은 유래됩니다.
* 종교력으로 유월절인 1 14일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를 나오면서부터 발효되지 않은 빵(무교병-無酵餠-unleavened bread-유대인들은 마쪼트라 부른다.)을 일주일간 즉 유월절인 1 14일부터 1 21일 까지 먹는 것으로부터 무교절이 유래했기 때문입니다. 무교절이란 누룩없는 빵()의 축제일을 말합니다. 참고로 이 마쪼트는 경건한 남자들만이 만들게 되어 있습니다.
* 레위기 23 1-8절에 보면 1 14일은 유월절로 1 15일부터 7일간을 무교절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7일동안은 이 기간동안에는 누룩을 제하고, 누룩 없는 음식을 먹으면서 첫날(1 15)과 제 7일 끝날(1 21)에는 성회로 모여야 했으며 이 기간 동안에는 아무일도 하지 않았습니다.( 23:1-8)
 
4. 유월절을 지키는 현대 유대인들
* 히브리어로 ‘세데르’라 불리는 유월절의 첫 날 저녁만찬 행사는, 이스라엘인들의  조상들이 애굽에서 노예생활을 하다 해방된 것을 구체적으로 되새기며 기념하면서 가족 모두가 둘러앉아 식사를 하며 출애굽기 이야기를 담은 ‘하가다’라는 책을 함께 읽습니다. 유월절 음식은 이집트에서의 노예생활의 고통을 상징하는 쓴나물과 누룩 없는 빵인 마쪼트, 포도주, 유월절 양을 상징하는 정강이뼈, 삶은 계란, 고센 땅에서의 흙벽돌 쌓는 작업을 연상 시키는 하로셋(사과 으깬 것과 호도나 잣 등을 으깬 것에 꿀, 포도주 등을 부어 계피 등을 섞어 만든 고추장 비슷한 양념장의 일종)소스 등으로 구성됩니다.
유월절2.jpg 
<텔아비브 부근의 정통파 유대교 기관에서 유월절때 먹는 무교병인 특별 '마쪼트'를 만드는 모습>
 
* 이스라엘 사람들은 유월절이 시작되기 전에 발효된 빵들을 태웁니다. 집안을 샅샅이 청소하면서 구석구석에 있는 빵이나 비스켓 부스러기를 찾아내 없앱니다. 또한 평소 누룩있는 음식을 요리했던 부엌 도구들까지 끓는 물에 삶아내 일말의 누룩이라도 그 흔적을 제거합니다. 누룩 제거 대청소의 마지막 단계는 아이들에게 집안 구석 어디서든 부스러기 하나라도 찾아오게 하여 상을 주는 것으로 끝이 납니다.
유월절1.jpg 
<발효된 빵을 태우는 모습>
* 작은 구멍가게에서 대형 수퍼마켓에 이르기까지 매장 안에 있는 누룩든 음식은 흰 천으로 가려지고 팔 수도 살 수도 없습니다.
* 국가 전체로도 누룩을 없애는 상징적인 행사가 벌어집니다. 이스라엘의 고위 관리가 이스라엘 안에 있는 모든 누룩 성분을 이스라엘 사람이 아닌 사람들에게 팔기도 합니다. 물론 이것을 산 사람은 유월절 절기가 끝나면 다시 되 팔수 있습니다.
* 현재 이스라엘에서는 종교력으로 1 15일과 1 21일은 욤 토브(좋은 날)라고 불리워 지며 국가 공휴일로 지켜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간의 5일은 반 공휴일로 지켜지고 있습니다.

5. 유월절 사용 용어들
* 카메츠 : 인공적으로나 자연적으로 발효된 밀, 호밀, 보리, 귀리, 맥아, 포도주 등을 통칭합니다.
* 쎄오르  : 발효시키거나 발효를 돕는 모든 발효제(Yeast)나 그와 유사한 물질을 가리킴니다.
* 마쪼트 : 이 빵은 본래 직경 30센티미터의 원형이었으나 지금은 한 변이 10인치 정도인 정사각형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맛짜는 경건한 성인 남자들만이 만들수 있습니다.
* 하로셋 소스 :사과 으깬 것과 호도나 잣 등을 으깬 것에 꿀, 포도주 등을 부어 계피 등을 섞어 만든 고추장 비슷한 양념장의 일종입니다.
* 야하쯔: 빵 자르기란 의미로 테이블 위에 있는 세 개의 맛짜 가운데서 두 번째 것을 반으로 나누는 행위입니다. 반쪽은 나누어 먹고 나머지 반쪽은 아피코만이라 하여 숨기게 되는데 식사 후에 아이들로 하여금 아피코만을 찾게 하고 찾은 사람에게는 상()을 줍니다.
 
6. 유월절 준비물
* 시편이 들어있는 성경책
* 찬송가 또는 유월절 노래집
* 마쪼트 (무교병, 3배수로 마련)
* 마로르 (고추냉이 소스)
* 하로셋 (과일, 견과, 향신료, 포도주로 만든 소스)
* 싱싱한 파슬리
* 소금과 소금물
* 다량의 포도주와 포도주잔
* 일 년 된 숫양의 고기와 정강이뼈 (러시아 유대인들은 닭을 사용)
* 구운 계란
* 축제의 촛대들 (안식일 용)
* 싱싱하고 아름다운 식탁용 꽃들과 꽃병
* 손 씻을 물과 물잔
* 특별한 유월절 음식들
* 유월절 학가다
* 어린이용으로 출애굽 그림이 그려진 색칠하기 책
* 크레용이나 색연필
* 참석자들은 흰색 계열의 옷을 입습니다.
 
7.  이스라엘의 유월절 식사 순서
* 첫번째 컵에 포도주를 따른 후 인도자는 축복문을 낭송함으로 유월절이 온 것을 축복합니다.
* 축복이 끝나면 참석자들은 물 한 컵을 자신의 두 손에 각각 세 번씩 부어 손을 씻습니다
* 파슬리나 셀러리 혹은 양상추를 소금물에 찍어 먹습니다. 야채는 새봄의 새로운 생명을 상징하고 소금물은 유대인들이 이집트에서 흘린 눈물을 상징합니다.
* 3개의 마쪼트(무교병)중에서 가운데 것을 취하여 중간을 부러뜨려서 접시에 내려놓습니다. 부러뜨린것중 큰 부분을 넵킨에 싸서 두는데 이를 아피코만이라 부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