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성경해석의 실제

페이지 정보
profile image
작성자
  • 211.♡.152.53
  • 0건
  • 8,113회
  • 작성일:
본문

성경에 대한 바른 해석을 시도하려면 해석의 원리를 바로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고로 지금까지 취급하였던 모든 방법론과 최근의 방법론들 가운데 나타난 원리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주요 원리만을 추려서 다룰 것이다.

1. 해석의 과정과 원리

1) 본문의 설정

여러 사본 중 가장 원문에 가까운 본문을 골라야 할 것이다. 이 때 본문 비평 방법을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일이 어려우면 적어도 현대 비평 본을 대본으로 하여 번역된 본문을 사용할 것이다. 요1서 4:19에 흠정 역은 “우리가 그를 사랑함은 그가 먼저 우리를 사랑하셨음이라”로 읽는다. 미국 표준역(ASV)은 보다 나은 사본에 근거하여 “우리가 사랑함은 그가 먼저 우리를 사랑하셨음이라”고 읽는다. “그를”이 있는 것은 공인 원문의 편집 당시에 사용된 비교적 후대의 사본이며 공인 원문은 흠정역의 대본이 된다.

또 요 5:4의 흠정 역을 보면, “이는 천사가 가끔 내려와....낫게 함이라”

어째서 천사의 행동이 구속 사역과 관계되는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다행이 올바른 대본을 사용할 때 이런 의문은 사라진다. 즉 이 구절의 3덜 끝 부분과 오래된 최선의 사본들에는 이 부분이 빠져 있다. 그러므로 후에 추가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요8:25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2) 역사적 석의(Historical Exegesis)

하나의 책이나 구절이 생겨났던 역사적 상황을 재건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왜냐면 올바른 해석은 성경 기록의 상황의 빛n아래서 해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1) 저자에 관하여

ㄱ. 저자의 특성, 정신적 기질, 독특한 견해

ㄴ. 저자의 사상적 환경과 유산

(2) 독자에 관하여

저자는 독자를 의식하며 썼기에 해석자는 독자를 알아야 한다. 해석자가 독자의 성격과 경험에 대한 지식을 가지는 것은 저자의 사상을 알아내는 좋은 도구이다.

(3) 저작 시일에 관하여

저작 당시의 상황, 사상적 상황, 생활의 상황

(4) 동기와 목적

반드시 저작 동기와 목적이 있다. 예)요20:31

(5) 사회적 상황

사회학적 접근

3) 문학적 석의 (Literary Exegesis)

문장-절-단어 별로 연구

(1) 어휘적 석의(Lexical Exegesis)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일이다. 헬라어 원어 의미의 파악은 성경 해석에 있어 더 없이 중요하다. 예)‘영광’ : 원래 ‘무게’라는 말에서 옴. 그러니까 ‘무게 있는 사람’ ‘권위 있는 사람’으로 사람의 인격을 나타냄. 즉 하나님의 자기 현현의 성품과 본질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2) 구문적 석의(Syntactical Exegesis)

한 문장 안에 있는 낱말들의 관계 즉 문맥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시제, 태, 법, 격들이 주는 의미가 중요하며 문법적 특징을 알아야 한다.

(3) 수사학적 석의

수사학적으로 사용된 곳은 특수하게 해석해야 한다. 즉 비유적, 상징적, 격언들의 표현 등은 특수적 해석법을 사용해야 한다.

(4) 본문 비교 석의

여러 다른 본문과 비교해서 공통점, 차이점을 연구한다.

4) 신학적 석의(Theological Exegesis)

본문을 성립시켰던 당시의 사상, 저자의 정신을 탐구하여 성경 전체의 총체적이고 통일적인 신학사상과 기독교의 전통적 교리와 비교해서 연구한다. 여기에서 주의할 것은 부분적이며 지엽적인 해석은 해석의 오류를 낳은 무서운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최근의 성경 연구 방법론인 편집사 비평적 연구, 사회학적 비평연구는 해석의 좋은 도구가 될 것이다. 어쨌든 모든 성경 해석은 본문과 일치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해석(주석)의 실례

1) 마가 4:1-9 ‘씨 뿌리는 자의 비유’ 해석

(1) J.Gnilka, '마르코복음1‘ 한국신학연구소, P.202-

(2) 풀핏주석, ‘마가복음’ ,풀핏성경주석번역위원회, P.337-

(3) 이상근, ‘마가복음’, 예장총회 교육부, P.82-

(4) 류형기편, ‘바클리 성경주해3’, 감리회총리원, P.399-

2) 설교의 실례

기독교 사상 1983. 7월호 P.180에 게재된 ‘성경과 설교’에서 한편을 뽑은 것임

본문-예레미야 23:5-8, 제목 -미정

* 본문 정독의 5원칙

1. 긴장완화와 평상심을 통하여 마음을 고요하게 가질 것.

2. 본문의 메시지를 오롯이 파악하려는 전심치지의 자세를 가질 것.

3. 본문의 외연적 차원을 모두 받아들일 것(균등한 주의력 분배)

4. 본문의 내포적 차원에로 주의를 집중시킬 것 (집중적인 결단)

5. 창조적인 자유를 발휘 할 것(읽기와 쓰기의 기쁨)

독자는 훈련을 통해 끊임없이 이 5원칙을 연마하여야 한다.

3 성경해석을 위한 도구들(1)

1) 좋은 번역본들

성경은 원래 히브리어, 아람어(구약의 일부), 헬라어로 쓰여졌다. 그러나 소수의 사람들만이 원어를 다룰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은 이해할 수 있는 번역 성경을 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번역 성경에는 원문을 직역한 성경과 의역한 성경이 있다. 번역본 가운에는 가장 좋은 사본들을 사용하여 수준 높게 번역한 New International Version(NIV, 복음주의 계열에서 번역한 의역성경)과 New American Standard Version(NASB, 복음주의 계열에서 번역한 직영성경)은 영어성경이 좋다. 성경은 큰 글씨체로 인쇄되고, 여백이 많으며, 설명이나 단락구분이나 소제목이 없는 것이 좋다. 관주나 성구사전이 부록으로 있는 성경은 해석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을 해석하면서 개역판 한글 성경에만 의존하고자 하는 것은 무모하고 게으른 태도이다. 가능하면 많은 번역본들을 참고하는 것이 보다 객관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한글 역본으로는 개역개정판, 표준 새번역, 공동번역을, 영어 역본으로는 NIV, NKJV, NRSV 등을 추천할 수 있다. 또 필요할 때는 원어성경을 참조해야 하는데, 만일 원어에 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행간번역본(interlinear Bible, 원문의 내용 바로 밑에 문자적인 번역을 시도한 성경)을 참조할 수도 있다.

성경해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도구는 좋은(번역)성경이다. 그러나 주석성경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주석 성경에 고록 되어 있는 '주석'이나 '설명'을 전적으로 신뢰하지는 말라. 우리는 '스코필드 관주 성경'의 세대 구분의 영향으로 '세대주의'가 나왔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또한 성경에 나오는 '소제목'이나 '문단 나눔'도 절대화해서는 안 될 것이다.

2) 성구 사전

중요한 단어를 알파벳 순서대로 나열하면서 그 단어가 나오는 성경구절을 찾아놓은 성구 사전은 Strong, Young, Cruden 성구사전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것들은 흠정역(AV)에 근거하여 작성된 것이다. NIV 번역본과 NASB 번역본 또한 성구 사전을 가지고 있다. NASB 성구사전은 Strong 이나 Young 의 성구 사전과 마찬가지로 완벽하며, 뒷면에 헬라어와 히브리어 Lexicon도 가지고 있다. NIV 성구사전은 한계가 있고 간혹 중요한 구절들을 빠뜨리고 있다.

성경을 해석할 때 색다른 단어나 낱말을 찾아보기 위해서는 성구사전을 참고할 수 있다. 개역 성경이나 영어성경은 이러한 것들을 참고해도 되지만, 히브리어나 헬라어 원문을 위하여는 원문을 참조로 한 성구사전(한국기독교문화협회 刊)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 국어사전

우리는 단어의 핵심적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해서 성경을 해석하는데 실수를 범하는 일이 빈번하다. 좋은 국어사전에서 단어들을 찾아보는 것만으로도 그런 실수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4) 성경사전

성경책이 처음 쓰여졌을 때의 문화나 관습을 더 잘 이해하면 할수록,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 당시 사람들에게 실제로 말씀하셨던 것이 무엇인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성경사전에는 성경이 쓰여진 시대의 사람과 장소, 문화 등에 대한 기사들이 짤막하게 기록되어 있다. IVP에서 발행한 NEW Bible Dictionary(새 성경사전, 기독교문서선교회 刊)는 추천할 만한 책이다.

5) 주석류

주석은 성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 내용을 자세히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가장 전문적이고 포괄적인 참고서이다. 주석은 성경 본문의 의미와 뜻을 설명해 놓은 책이다. 성경 각 책의 구조, 저자의 목적, 원래의 독자들이 처했던 역사적인 상황을 다룬 개론이 있는 것이 좋은 주석이다. 그러나 각 주석마다 특징이 있다. 주석마다 배경에 충실하고, 원문(원어)에 충실하고, 문예적으로 신학적으로 충실한 주석들이 각각 다르다. 따라서 주석의 도움 없이는 보다 정확한 성경이해나 해석은 상상할 수도 없다.

단권 주석으로는 IVP에서 발행한 New Bible Commentary를 추천한다. 하지만 주석은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주석 역시 그것을 쓴 사람의 신학적인 견해이기에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다. 주석자가 '이 구절은 이런 뜻입니다.'라고 말했다고 해서 반드시 옳은 주석은 아니다. 먼저 스스로 성경을 주해한 다음에 그 결과를 주석과 비교하라. 그러나 주석은 한 사람이 저술한 씨리즈보다 책별로 좋은 학자의 주석을 골라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성서유니온에서 출간한 맥 씨리즈(24권)를 활용하는 것도 성경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다.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성서유니온 간)의 부록을 살펴보면 각자의 필요와 신학적 수준에 맞는 좋은 주석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4. 성경해석을 위한 도구들(2)

주석은 너무나 방대하고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역본에 따른 분류

- 한글 개역 판을 본문으로 한 주석

- 영어 역본에 기초한 주석

- 원문을 직접 다루는 주석

◈ 주석의 스타일에 따른 분류

- 학문적 연구를 위한 주석

- 강설적 목적의 주석

- 경건적 성격의 주석

◈ 신학적 입장에 따른 분류

- 비판적 입장의 주석

- 보수적 입장의 주석

- 교파적 신학적 전통에 따른 주석

◈ 다루는 양에 따른 분류

- 단권주석

- 시리즈 주석

- 개별 주석

5. 기타 보조 자료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행간 직역본(An interlineartranslation)은 원어 문장 밑에 영문 직역을 실은 것으로서 독자는 문자적으로 어떻게 번역되는지를 알 수 있다. '성경핸드북'은 본문 속의 여러 주제들을 설명해준다. '성경지도'를 통해서는 본문에 나오는 지명과 성경 인물들의 이동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본문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가운데 나타나는 지명, 지리적 위치 등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을 위해서 성경 지도는 대단히 유용한 도구가 된다. 추천할만한 성경지도로는 '아가페 성서지도', IVP의 NEW BIBLE ATLAS와 성서유니온의 THE STORY ATLAS OF THE BIBLE등이 있다.

6. 국내외 주석의 성격 분류

책 명

저자 및 역편자

출판사

성 격

주석

강해

설교

수록방법

풀핏성경주석

E.Bickersteth

풀핏목회사

0

0

0

분해

성경주석씨리즈

매튜헨리

교문사

0

통합

성경주석씨리즈

바클레이

교문사

0

통합

국제성경주석

한국신학연구소

0

0

통,분

신구약주석

칼빈

성경교재간행사

0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